본문 바로가기
2D 디자인

[Spine] 스파인 인터페이스 설명

by J-Chi 2022. 9. 4.

스파인 설치 후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앞서 스파인 프로그램의 인테페이스를 숙지 해야 합니다. 해당 포스팅에서는 스파인의 각 인테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고 간단한 사용 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. 여기서 다루지 않는 간단한 내용이나 더욱 복잡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스파인 공식 홈페이지에서 더욱 자세한 내용을 확인하실 수 있습니다.

 

1. 메인 메뉴(Main Menu)

스파인 프로그램의 왼쪽 최상단의 Spine 로고를 클릭하면 메인 메뉴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스파인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는 다르게 메뉴 항목이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. 메인 메뉴에서는 프로젝트 저장 및 열기 기능이 대부분이며 최하단의 설정 메뉴를 통해 스파인 버전 변경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메인 메뉴의 단축키는 Alt+F(Mac은 Opt+F)입니다.

 

메인 메뉴
메인 메뉴 화면


 

2. 프로젝트 여는 법(Opening Projects)

프로젝트를 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작성자 기준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 3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.

 

  • OS(Windows, Max, Linux)의 파일 탐색기에서 프로젝트 파일을 실행하거나, 프로젝트 파일을 스파인이 실행되어 있는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메인 메뉴의 프로젝트 열기를 클릭하여 프로젝트 실행을 합니다. 이 경우 Shift를 누른 상태로 프로젝트 열기를 클릭하면 파일 탐색기 창이 바로 열립니다.
  • 단축키 Ctrl+o(Mac은 Cmd+o)를 눌러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. 

 

3. 뷰(Views)

본 세팅을 하거나 애니메이션 작업을 보여주는 가운데 화면이 뷰포트이고 오른쪽에 본의 정보를 담고 있는 트리뷰가 있습니다. 그 외 가중치, 메쉬, 스킨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뷰들이 오른쪽 상단에 포함되어 있어 필요한 뷰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세팅할 수 있습니다.

 

뷰
스파인 화면의 뷰


 

4. 패닝(Panning)

패닝이란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하는 행동을 말합니다. 뷰포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화면 이동이 가능합니다. 태블릿 같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기 힘들다거나 없는 기기를 사용한다면 J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
 

5. 줌 인/아웃(Zooming)

줌 기능은 스파인 작업 시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 기능 입니다. 확대 및 축소는 마우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진행 됩니다. 줌 인/아웃이 필요한 위치에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한 후 마우스 휠을 위(확대)/아래(축소)로 스크롤을 하면 됩니다.

마우스 휠이 없는 경우에는 Ctrl+마우스 오른쪽 버튼(Mac은 Cmd+마우스 오른쪽 버튼)을 누른 뒤 마우스를 위아래로 이동하면 줌 인/아웃이 진행됩니다.

 

화면의 줌을 초기화(100% 상태)로 만들 때는 단축키 Ctrl+F나 뷰포트 왼쪽 하단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됩니다.


 

6. 설정 / 애니메이션 모드(Setup / Animate Mode)

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설정 / 애니메이션 아이콘을 클릭하면 설정 모드와 애니메이션 모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설정 모드에서는 본을 만들고 매쉬를 생성하는 등 기본 세팅을 진행하고 애니메이션 모드에서는 도프시트와 그래프를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을 구현합니다.

 

설정 모드
설정 모드 화면

 

애니메이션 모드 화면
애니메이션 모드 화면


 

7. 작업 취소 / 다시 실행(Undo/Redo)

작업 취소 및 다시 실행은 타 프로그램들과 동일한 단축키를 사용합니다. 작업 취소는 Ctrl+z(Mac은 Cmd+z) 이고 다시 실행은 Ctrl+Shif+z 또는 Ctrl+y(Mac은 Cmd+Shift+z / Cmd+Shift+z) 입니다.

단축키 외에도 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화살표 아이콘 2개로 동일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작업 취소 / 다시 실행 버튼
작업 취소 / 다시 실행 버튼


 

댓글